-
코어위브 IPO 기대를 모으고 있는 AI 클라우드 기업 상장 분석증시 2025. 3. 10. 19:13
1. 코어위브 IPO 왜 주목해야 할까?
2025년 상장 예정 기업 중 가장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코어위브(CoreWeave)입니다. 코어위브는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GPU 대여를 통해 AI 기업들의 연상 작업을 지원합니다. 2025년 3월 3일, 나스닥에 상장을 위한 신고서를 제출했으며 종목 코드는 "CR"로 결정되었습니다.
코어위브 핵심 성장 요인
- AI 연산 수요 급증 : 생성형 AI 및 머신러닝 프로젝트 증가로 인해 GPU 연산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GPU 인프라 공급 :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AI 기업에 고성능 GPU를 쿨라우드 방식으로 제공
- 급성장하는 매출 : 2024년 매출 737% 증가 EBITDA(세전영업이익) 급등
- 강력한 투자 유치 : 골드만삭스, 시스코, 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확보
2. 코어위브 기업 가치 평가
①폭발적인 밸류에이션 상승
코어위브의 기업 가치는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 2023년 5월 : 기업가치 60억 달러
- 2023년 10월 : 시스코(Cisco) 투자 유치 후 190억 달러
- 2024년 10월 : 230억 달러로 증가
- 2025년 3월 : IPO 목표 시가총액 350억 달러 이상
이는 5개월 만에 기업가치가 40억 달러 증가한 것이며 AI 클라우드 시장에서 코어위브의 성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②AI 시장 내 코어위브 역할
AI 발전과 함께 대량의 GPU 연산 능력이 필요해졌으며 많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이 리소스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GPU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코어위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와 파이낸셜타임스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코어위브의 EBITA(감가상각 전 영업이익)는 3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동종 기업들의 멀티플(Valuaton Multiple)을 고려했을 때 코어위브의 기업 가치는 40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실적 분석
①매출 및 이익 성장
코어위브는 2024년 한 해 동안 매출이 737% 증가하는 경이로운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 2023년 매출 : 2억 달러
- 2024년 매출 : 19억 1,500만 달러
특히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데 2022년과 2023년에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2024년에는 흑자로 전환해 이익을 창출해 냅니다. 다만 아직 순손실이 지속되고 있지만 매출 증가율에 비해 순손실 증가율(45%)이 상대적으로 낮아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춰가고 있습니다.
②미래 매출 전망 RPO 분석
미래 매출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잔여 계약 가치(RPO, Remaining Performance Obligations)입니다. 이는 이미 체결된 계약이지만 아직 매출로 인식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 2023년 말 RPO : 99억 달러
- 2024년 말 RPO : 151억 달러(+53%)
이 중 2026년까지 매출로 인식될 금액이 81.5억 달러에 달합니다. 향후 2년간 매출 증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4. 고객및 시장 전략
①주요 고객사
코어위브는 빅테크 기업 및 자금력이 풍부한 AI 스타트업을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습니다.
- 메타(Meta)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엔비디아(Nvidia)
- 코히어(Cohere)
- 미스트랄 AI(Mistral AI)
이 기업들은 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하며 지속적인 GPI 사용이 필수적인 고객들입니다. 코어위브는 이 기업들을 장기고객으로 확보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5. 재무 안정석
①부채 구조
코어위브는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부채가 증가했습니다.
- 총 부채 : 51억 달러 → 165억 달러(+3배 증가)
- 단기차입금 : 24억 6,800만 달러
부채 증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지만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136억 달러에 달하며 선수금(계약금)까지 포함하면 단기 부채를 충분히 상환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②엔비디아와의 관계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의 5.9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코어위브가 안정적으로 GPU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음을 의미합니다.
출처/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UFZ46tRjqaM